의학정보
-
어깨 · 회전근개 가볍게 넘긴 어때 통증, 알고 보니 어깨충돌증후군? 25.07.22 10:46 1
-
서울대 의대 졸업 의료진 8명을 포함한 총 18명의 의료진과 함께하는 강서구 SNU서울병원입니다.
1. 팔을 들 때 어깨가 아프고 걸리는 느낌? 어깨충돌증후군 의심해보세요
팔을 들어 올리거나 어깨를 돌릴 때 통증이 생기고, 특정 각도에서 걸리는 느낌이 있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어깨 관절 내에서 뼈와 힘줄, 점액낭 등이 서로 부딪히며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중년 이후나 반복적인 팔 사용이 많은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단순한 근육통으로 넘기기 쉬운 증상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만성통증이나 회전근개 파열로 악화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2.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를 움직일 때 상완골의 머리 부분이 견봉 아래 구조물과 부딪히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회전근개와 점액낭이 견봉 아래에서 눌리거나 마찰되며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팔을 60도에서 120도 사이로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복적인 자극이 누적되면 힘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3. 어깨충돌증후군 원인
● 반복적인 팔 사용: 테니스, 수영, 배드민턴 등 팔을 자주 쓰는 운동이나 작업에서 반복적으로 어깨를 사용하면 마찰이 증가합니다.
● 자세 불균형: 어깨가 앞으로 말리는 자세나 구부정한 자세는 충돌을 더 쉽게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노화로 인한 힘줄 약화: 중년 이후 회전근개가 약해지면서 충돌 위험이 증가합니다.
● 견봉의 구조적 이상: 견봉이 지나치게 뾰족하거나 기형인 경우 충돌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 외상: 어깨를 다친 이력이 있는 경우 관절 구조가 변형되어 충돌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4. 어깨충돌증후군 증상
● 팔을 들 때 통증: 특히 어깨 높이 이상으로 팔을 올릴 때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집니다.
● 어깨 속 걸리는 느낌: 특정 각도에서 걸리는 듯한 느낌이나 '딸깍'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야간 통증: 자는 동안 어깨 통증으로 인해 숙면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어깨 힘 빠짐: 팔을 들고 유지하는 것이 힘들고, 쉽게 피로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 운동 제한: 어깨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어렵고 특정 동작에서 제한을 느낍니다.
5. 어깨충돌증후군 진단 방법
어깨충돌증후군은 주로 환자의 증상과 이학적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팔을 특정 각도로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유발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를 시행하며,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X-ray, 초음파,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회전근개의 손상 여부나 염증 정도, 점액낭 부종 등의 확인을 통해 질환의 진행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게 됩니다.
6. 어깨충돌증후군 치료 방법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를 병행하여 어깨 관절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체외충격파나 주사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어깨 안정화 운동으로 근육 밸런스를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통증이 장기화되거나 힘줄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며, 수술 후 재활이 어깨 기능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 어깨충돌증후군 예방법
어깨충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어깨 사용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통해 어깨 근육과 힘줄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일상생활 중 어깨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 통증이 발생했을 때는 초기 증상을 무시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Q. 어깨충돌증후군은 자연적으로 좋아질 수 있나요?
A. 가벼운 경우에는 휴식과 약물치료만으로 호전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치료와 재활이 필요합니다.
Q. 수술은 언제 필요한가요?
A.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회전근개 파열 등 동반 질환이 있을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운동은 언제부터 해도 되나요?
A. 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단계적으로 재활운동을 시작해야 합니다.
Q. 한쪽 어깨만 아픈데도 양쪽을 모두 관리해야 하나요?
A. 어깨는 좌우 균형이 중요하므로 한쪽이 아프더라도 양쪽 모두 운동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